수기요법을 사용하는 한의학 분과 척추신경추나의학회

Total 30건 / 2 페이지
  • Q자동차보험 진료비 인정범위

    □ 자동차보험 진료비 인정범위

    ○ 교통사고와 관련된 모든 치료비용 전액을 보험사로 청구(환자 본인부담금 없음)

    ⇒ 건강보험 급여범위(수가 및 산정기준 동일) + 첩약, 한방물리요법, 추나요법, 약침술 등 교통사고 환자 치료목적의 보편 타당한 의료행위


    ○ 자동차보험에서 인정하지 않는 진료비

    ► 교통사고와 인과관계가 없는 상병에 대한 진료비

    ► 자동차사고 이전 이미 가지고 있던 증상(기왕증)에 대한 진료비

    단, 기왕증이 사고로 악화된 경우의 진료비는 인정

    예) 근골격계상병 : 사고로 인하여 증상 악화된 것으로 본다면 자동차보험 적용 가능

    ► 상급병실료 : 단, 입원당 약관에서 정하는 범위내에서 산정 가능 (약관상 7일 인정)

    ⇒ 7일초과분은 환자본인부담 가능

    ※금액: 병원에서 정한 상급병실료 중 일반병실료의 차액으로 청구 (비용산정 목록 신고후)

    ► 의료기관 퇴원 및 전원 지시에 불응한 경우 등

    ※자동차보험 또는 건강보험 적용이 애매한 경우는 건강보험공단에 "급여제한여부조회서 "를 제출하여 결정을 받을 수 있음.

  • Q자동차보험의 개요

    □ 정의 : 자동차의 운행으로 교통사고를 당한 환자가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을 보험사업자 등의 보험금 또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의 보상금에 의하여 보상하는 제도


    □ 법령 근거 :

    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12조의2

    나. 동법 시행령 제11조의2, 동법 시행규칙 제6조의2 등

    다. 자동차보험진료수가 심사업무처리에 관한 규정

    - 자동차보험진료수가 청구 및 지급 절차, 심사결과 통보 및 이의제기 등

    라. 국민건강보험법 제63조 제1항(심사평가원의 업무) 제5호

    - 다른 법률에 따라 지급되는 급여비용의 심사는 의료의 적정성 평가에 관하여 위탁받은 업무

  • Q팔꿈치 운동법

    1. 팔꿈치 운동이란 :

    팔꿈치는 손목, 손의 동작을 지지하는 관절로써, 손의 다양한 움직임을 지지하여 주는 동시에 강한 힘을 낼 때 지렛대 축의 역할을 한다. 손목의 편향된 움직임이 반복될 경우 건초염이 발생하기 쉽다. 손목을 굽히는 방향의 동작이 많을 경우 내측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젖히는 방향의 동작이 많을 경우 외측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2. 운동방법 :

    1) 걸터 앉은 자세에서 한쪽 팔의 어깨와 팔꿈치를 90도 굽혀 손이 하늘을 향하게 한다. 이 자세에서 반대편 손으로 팔꿈치 윗부분을 잡아 고정 시킨다. 손바닥이 안쪽을 향하게 하고 주먹을 쥔 후 천천히 손목을 굽힌다. 그 후 손목을 천천히 바깥쪽으로 돌려 주먹이 앞을 향하게 한 후 팔꿈치를 천천히 팔꿈치를 편다. 최대 범위까지 시행 후 천천히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걸터 앉은 자세에서 한쪽 팔의 어깨와 팔꿈치를 90도 굽혀 손이 하늘을 향하게 한다. 이 자세에서 손바닥이 뒤를 향하도록 돌리고 손목을 뒤로 젖히며 팔꿈치를 천천히 펴 나간다. 최대한 펼친 후 반대편 손을 이용하여 손바닥의 끝부분을 감싸 쥐고 한번 더 젖혀준 후 천천히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어깨운동법 2

    1. 어깨운동법2 :

    어깨는 인체에서 가장 운동범위가 크고 불안정한 관절로써,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동

    작에 의한 부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움직임 범위 유지와, 안정적이고 정확한 움직임이 중요하다. 어깨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지면, 팔의 움직임 시 어깨에서 소리가 나거나 특정방향에 대한 흔들림 및 통증을 나타낼 수 있다.


    2. 운동방법 :

    1) 벽에 등을 대고 몸을 밀착 시켜서 바른 자세로 선다. 양쪽 팔꿈치를 굽힌 후 어깨를 굽혀 양쪽 아래팔이 몸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손을 하늘 방향을 향해 대칭되게 끝범위까지 들어올린다. 자세가 틀어지지 않게 주의하며 천천히 처음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벽을 마주보고 서서 양쪽 아래팔을 벽에 붙이고 몸과 나란한 자세가 되도록 한다. 양 손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약간 바깥을 향해 천천히 끝범위까지 들어올린다. 자세가 틀어지지 않게 주의하며 천천히 처음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3) 벽을 마주보고 서서 양팔을 펴고 손이 볕에 닿게 자세를 잡는다. 이 자세에서 양손으로 벽을 누르며 몸이 벽과 멀어지도록 유도한다. 견갑골 주변부에서 움직임이 일어나는지 주의하며 시행 후 처음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어깨운동법 1

    1. 어깨 운동법1 :

    어깨는 인체에서 가장 운동범위가 크고 불안정한 관절로써,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동작에 의한 부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움직임 범위 유지와, 안정적이고 정확한 움직임이 중요하다. 어깨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면 정상적인 팔의 기능에도 제한이 발생한다. 두 팔을 뻗은 만세 자세나 손을 허리 뒤로 돌린 열중쉬어 자세 시 동작의 제한과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2. 운동방법 :

    1)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아래 팔을 앞으로 빼고 양쪽 무릎을 굽혀 몸을 안정된 자세로 만든다. 아래 팔의 팔꿈치를 90도 굽히고 손이 하늘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위쪽 손을 이용하여 아래 팔의 손목을 잡고 천천히 바닥 방향으로 눌러준다. 견갑골 주변부에서 긴장이 느껴지는걸 확인하며 최대 범위까지 눌러준 후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양쪽 무릎을 굽혀 몸을 안정되고 하고 양손을 최대한 앞으로 뻗어 나란히 위치 시킨다. 이 자세에서 위쪽 속을 더 멀리 내밀고 최대한 큰 원이 되도록 천천히 돌려준다. 이 때 골반이 고정되어 있도록 배에 힘을 주며 움직임이 최대한 위쪽 어깨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자세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발목 운동법

    1. 발목 운동이란 :

    발목은 보행 시 땅을 디디며 균형을 잡기 위한 기능을 하며, 다리의 힘을 전달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관절이다. 다리의 회전적인 움직임과 앞으로 나아가는 동작을 동시에 지지하고 땅의 상황에 대한 균형 감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반된 견고성, 유연성이 동시에 필요하다. 주로 잦은 부상으로 관절이 약해지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임이 편향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2. 운동방법 :

    1) 베개를 발의 앞 1/3에 위치하여 밟은 후 발끝으로 바닥을 누르며 뒷꿈치를 최대한 높이 들어 올린다. 끝 범위까지 올린 후 발의 안쪽을 들어올려 발의 아치가 강조 되도록 유도한다. 그 후 천천히 발을 내려 뒷꿈치가 바닥에 닿고 발목이 위로 젖혀 질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베개를 밟고 편안한 자세로 선다. 발끝으로 서며 뒷꿈치를 들어준다. 그 후 뒷꿈치로 서며 발끝을 들어준다. 양발의 안쪽과 바깥쪽을 각각 누르며 반대편을 들어준다. 그 후 반대 방향을 이용하여 다시 시행한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무릎 운동법

    1. 무릎 운동이란 :

    무릎은 보행 시 고관절과 발의 움직임을 연결하여 주며 힘의 전달과 충격 흡수를 하는 관절이다. 안정적인 동작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확한 움직임의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선 자세에서 양쪽 무릎을 동시에 굽힐 때 정면을 향하여 대칭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주로 무릎의 방향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거나 내측 혹은 외측으로 지나치게 편향 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2. 운동방법 :

    1) 벽에 닿게 하여 몸을 바르게 세운다. 양 발은 어깨 넓이로 벌려 선 자세에서 벽에서 반걸음 가량 앞으로 위치 시키고 무릎을 천천히 굽히며 몸이 내려가도록 한다. 몸이 벽에서 떨어지지 앉게 주의하며 최대한 내려갈 수 있는 범위까지 시행 후 원래의 높이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어깨 넓이로 발을 위치하고 바로 선 자세에서 양 팔을 앞으로 뻗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다. 그 자세에서 무릎을 천천히 굽히며 골반을 위로 뺀다. 무릎이 발 앞으로 나가지 앉도록 주의하며 최대한 몸을 낮춰준다. 최대한 내려갈 수 있는 범위까지 시행 후 원래의 높이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고관절 운동법(여자)

    1. 고관절 운동이 필요한 이유 :

    고관절은 보행 시 움직임을 일으키는 다리와 동작을 조절해주는 골반을 연결해주는 관절로써, 대칭적이며 안정적인 동작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자들은 주로 뻣뻣해져 움직임이 제한되는 관절의 문제가 많으며, 여자들은 과도하게 유연하여 불안정해지는 관절의 문제가 많다.


    2. 운동방법 :

    1)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관절과 무릎을 90도 굽혀 앞으로 들어올린다. 양손을 깍지 끼어 허벅지 아래에서 다리를 고정 해준다. 이 자세를 유지하며 무릎을 가능한 범위까지 천천히 펴준다. 끝 범위에 도달하면 발목을 위로 젖혀 발바닥이 하늘을 향하도록 유지 시킨 후 천천히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관절과 무릎을 90도 굽히고 발을 안쪽으로 들어올린 후 한 손으로는 발목을 잡고 한 손으로는 무릎을 잡아 고정해 준다. 이 자세를 유지하면서 최대한 가슴쪽으로 아래 다리를 천천히 당긴 후 천천해 내려준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3) 양 발을 어깨 넓이로 디디고 바로선 자세에서 한쪽 발을 차츰 바깥쪽으로 멀리 위치 시키며 내려 앉아 해당 허벅지 안쪽면이 늘어나도록 유도한다. 이때 양손으로 허벅를 가볍게 잡아 몸의 균형이 무너지지 않게 도우며 몸이 곧게 서도록 노력한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고관절 운동법(남자)

    1. 고관절 운동이 필요한 이유 :

    고관절은 보행 시 움직임을 일으키는 다리와 동작을 조절해주는 골반을 연결해주는 관절로써, 대칭적이며 안정적인 동작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자들은 주로 뻣뻣해져 움직임이 제한되는 관절의 문제가 많으며, 여자들은 과도하게 유연하여 불안정해지는 관절의 문제가 많다.


    2. 운동방법 :

    1)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관절과 무릎을 90도 굽혀 앞으로 들어올린다. 양손을 깍지 끼어 허벅지 아래에서 다리를 고정 해준다. 이 자세를 유지하며 무릎을 가능한 범위까지 천천히 펴준다. 끝 범위에 도달하면 발목을 위로 젖혀 발바닥이 하늘을 향하도록 유지 시킨 후 천천히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관절과 무릎을 90도 굽히고 발을 안쪽으로 들어올린 후 한 손으로는 발목을 잡고 한 손으로는 무릎을 잡아 고정해 준다. 이 자세를 유지하면서 최대한 가슴쪽으로 아래 다리를 천천히 당긴 후 천천해 내려준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3) 양 발을 어깨 넓이로 디디고 바로선 자세에서 한쪽 발을 차츰 바깥쪽으로 멀리 위치 시키며 내려 앉아 해당 허벅지 안쪽면이 늘어나도록 유도한다. 이때 양손으로 허벅를 가볍게 잡아 몸의 균형이 무너지지 않게 도우며 몸이 곧게 서도록 노력한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일자 허리 운동법

    1. 일자 허리란 :

    정상적인 허리는 40도 가량의 완만한 전만의 형태를 가지며, 골반과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된다.

    일자 허리란 평소 구부정한 자세를 가진 사람들에서 자주 나타나는 허리의 형태로, 일상 생활에서 편평하거나 오히려 구부정한 허리의 모양을 보인다. 주로 허리를 구부리거나 앉은 자세를 유지할 때 허리의 통증을 자주 호소하는 유형이다.


    2. 운동방법 :

    1) 걸터앉은 자세에서 몸을 바로 세워 최대한 허리를 최대한 젖힌다. 이 자세에서 양쪽 골반을 가볍게 감싸 쥐어 움직임이 생기지 않는지 확인한다. 양쪽 아래 다리 사이에 쿠션이나 베개를 끼우고 다리로 눌러 고정하여 준다. 이 자세에서 몸에 힘을 주어 골반의 움직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며 천천히 무릎을 펴 나간다. 골반의 움직임이 일어나기 전까지 최대한 편 후 천천히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엎드린 자세에서 양쪽 아래팔을 가슴 옆에 위치 시킨다. 손바닥을 바닥으로 향하여 양팔로 지지하며 몸을 들어올린다. 최대한 허리 부위가 젖혀지도록 유도하며 들어올린 후 천천히 처음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3) 혹은 엎드린 자세에서 양팔을 아래 방향으로 펴고 몸과 나란하게 위치 시킨다. 양쪽 팔을 땅에서 들어올리며 몸을 뒤로 젖혀 가슴이 최대한 땅에서 떨어지게 한다. 허리의 움직임이 최대한 일어나도록 하며 젖힌 후 천천히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오리궁둥이 운동법

    1. 오리궁둥이 :

    정상적인 허리는 40도 가량의 완만한 전만의 형태를 가지며, 골반과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된다.

    오리 궁둥이는 임산부나 배가 나온 사람들에서 자주 나타나며, 골반이 지나치게 앞으로 기울어지며 아랫배가 나오고 엉덩이가 들린 형태를 보인다. 주로 선 자세에서 하복부 및 엉덩이의 통증을 자주 호소하는 유형이다.

    2. 운동방법 :

    1) 하늘을 보고 바르게 누워 양 무릎을 굽혀 세워준다. 한쪽 무릎 전면부나 오금부위에 양손을 이용해 감싸 쥔다. 그 자세에서 가슴을 향해 당겨 차츰 허리가 펴지는 것을 느끼며 최대한 허리가 펴지도록 유도한다. 허리가 최대한 펴지면 그 자세에서 골반을 고정 시키며 반대편 다리를 발바닥이 바닥에 붙은체로 천천히 무릎을 펴나간다. 최대한 펴져 오금 부위가 바닥에 닿도록 유도한 후 발목을 위로 최대한 젖혀준다. 무릎을 다시 천천히 굽혀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엎드린 자세를 취하고 한쪽 무릎을 90도 굽혀 발이 하늘을 향하게 한다. 굽어진 다리의 무릎을 바닥에서 들어올려 엉덩이에 최대한 힘이 들어가도록 유도한다. 허리가 젖혀지기 전까지 시행한 후 천천히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오른쪽 왼쪽 각각 15회 씩 다리를 바꿔서 시행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편평 등 운동법

    1. 편평 등 이란 :

    정상적인 등은 40도 가량의 완만한 후만의 형태를 가지며, 옆에서 봤을 때 어깨가 고관절과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 정상이다.

    편평 등이란 발레리나, 군인 등의 직업을 가진 경직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서 자주 나타나며, 일자형태의 편평한 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몸을 앞으로 숙일때 등의 움직임이 부족하며, 긴장으로 인하여 견갑골 사이, 목, 허리의 통증을 자주 호소하는 유형이다.


    2. 운동방법 :

    1) 몸을 세우고 앉은 자세에서 양손으로 깍지를 끼며 아랫목까지 넓게 감싸 쥔다. 목의 움직임은 손으로 제한하면서 차츰 윗 등부터 아래 부위까지 굽혀 나간다. 허리 윗부분까지 굽혀지도록 시행하고 천천히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바르게 앉은 자세에서 양 손바닥을 마주 닿게하고 팔꿈치를 최대한 가깝게 모은다. 최대한 이 자세가 유지 되도록 노력하며 차츰 하늘 방향으로 양팔을 들어 올린다. 최대한 위로 올렸다가 천천히 원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굽은 등 운동법

    1. 굽은 등이란 :

    정상적인 등은 40도 가량의 완만한 후만의 형태를 가지며, 옆에서 봤을 때 어깨가 고관절과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 정상이다.

    굽은 등이란 구부정한 자세를 가진 사람들에서 자주 나타나는 자세로, 지나치게 둥근 형태의 등을 보인다. 주로 등을 뒤로 빼고 앉은 자세를 유지할 때 두드러지게 굽은 형태를 보이며,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유형이다.


    2. 운동방법 :

    1) 바로 선 자세에서 양팔꿈치를 굽히고 문이 열린 문틀에 위치 시킨다. 팔꿈치가 어깨와 같은 높이가 유지 되도록 조절한다. 한쪽 다리를 앞으로 한걸음 내디디고 몸이 전체적으로 앞으로 나가면서 팔과 연장된 가슴 부위에 늘어나는 느낌이 들도록 한다. 어깨의 통증이 없는 범위내에서 15회 반복 시행한다. 그 후 팔꿈치의 위치를 어깨보다 높게 위치하여 15회, 어깨보다 낮게 위치하여 15회 반복하여 준다.


    2) 엎드린 자세에서 양 손을 목뒤에 깍지를 낀다. 이 자세를 유지하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들어올려 양쪽 견갑골 주변에서 긴장이 생기도록 한다. 혹은 양 팔을 쭉 편 자세에서 주먹을 가볍게 쥐고 엄지 손가락을 펴며 하늘을 향하게 유지한다. 이 자세에서 양손을 바닥에서 들어올려 양쪽 견갑골 주변에서 긴장이 생기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일자 목 운동법

    1. 일자 목 이란 :

    정상적인 목은 30~35도의 완만한 전만의 형태를 가지며, 옆에서 봤을 때 바로선 자세에서 귀의 위치가 어깨와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 정상이다.

    일자 목이란 발레리나, 군인 등의 직업을 가진 경직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서 자주 나타나며, 일자 형태의 등과 함께 목도 일자 모양을 보인다. 주로 고개를 앞으로 숙일때 과도하게 목에 힘이 집중되며, 이 동작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유형이다.



    2. 운동방법 :

    1) 몸을 세우고 앉은 자세에서 양손으로 깍지를 끼고 아랫목까지 넓게 감싸 쥔다. 목의 움직임은 손으로 제한하면서 차츰 윗 등부터 아래 부위까지 굽혀 나간다. 허리 윗부분까지 굽혀지도록 시행하고 천천히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2) 베개를 가슴 밑에 위치 시킨 후 엎드려 등이 살짝 굽어진 자세를 만든다. 양손으로 이마를 바친 자세에서 시작하여 귀를 중심으로 머리가 뒤쪽으로 돌아간다는 느낌을 만들면서 차츰 들어올린다. 목의 만곡이 충분히 생기면 차츰 내리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 Q거북 목 운동법

    1. 거북 목이란 : 

    정상적인 목은 30~35도의 완만한 전만의 형태를 가지며, 옆에서 봤을 때 바로선 자세에서 귀의 위치가 어깨와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 정상이다. 

    거북 목이란 구부정한 자세를 가진 사람들에서 자주 나타나는 목의 자세로, 어깨에 비해 머리가 앞에 위치한다. 주로 뒷목의 긴장 과 두통이 자주 나타나는 유형이다.



    2. 운동방법 :

    1) 벽이나 등받이에 등을 붙이고 몸을 곧게 세운다. 가슴을 펴고 턱을 당겨 목에 가깝게 위치 시킨다. 


    2) 팔꿈치를 90도 굽히고 양팔을 어깨를 90도 굽힌 자세에서 양팔을 벽에 붙여 가슴을 편다. 팔이 벽에 붙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차츰 손을 들어올려 최대한 펴질 때까지 올린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3) 팔꿈치를 90도 굽히고 양팔을 어깨를 90도 굽힌 자세에서 양팔을 앞으로 위치 시키고 손바닥이 나를 바라보도록 한다. 손바닥이 나를 향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차츰 손을 들어올려 최대한 펴질 때까지 올린다. 이와 같은 자세를 15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15회씩 2번 더 반복한다.

병원찾기

자주하는 질문

도서구매

세미나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