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기요법을 사용하는 한의학 분과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의료전문직(medical profession) 제도를 지탱하는 네 가지 핵심요소는 기본원리(basic principles), 교육제도(medical education), 면허제도(licensure), 시술범위(scope of practice)를 꼽을 수 있다. 이외에 해당 전문가 그룹의 학회(society), 연구(Research) 및 저널(journal)의 존재, 표준진료 및 진료 가이드라인(standard and guideline) 등이 요구될 것이다. 미국의 의료전문직(medical profession)은 각 주별로 독자적인 교육제도(의과대학 인증제도)와 면허제도에 근거하여 유지되고 있다. 미국 내의 의학교육 평가 및 인증기관을 통해서 규제되고 있다. DO계열로는 미국오스테오패시의과대학교육협의회(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Osteopathic Medicine(AACOM, 1898설립)이 있고, 오스테오패시 의학 대학교육 인증평가기관으로는 COCA(Commission on Osteopathic College Accreditation)가 설립되어 활동하며, MD계열로는 미국의과대학협의회(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MCC, 1876) 미국 의학교육 인증평가위원회(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카이로프랙틱은 건강관리전문직(heath care profession)으로 구분되며, 카이로프랙틱 대학교육 평가기관은 CCE(Council on Chiropractic Education)가 유사한 역할을 맡고 있다.
구분 | osteopathy | chiropractic |
---|---|---|
기본원리 | 자연치유력(the healing power of nature) *체액(body fluids)의 원활한 흐름 |
선천적인 자생력(innate intelligence) *신경(nerves)의 원활한 흐름 |
무엇을 치료하는가? | 초기 lesion → osteopathic lesion 현재 joint & somatic dysfunction |
초기 subluxation → vertebra subluxation complex(VSC) 현재 joint subluxation/dysfunction syndrome |
자신들의 수기치료 방법을 무엇으로 부르나? | Osteopathic Manipulation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간접 기법으로서 근육, 근막을 이용한 전신 치료에 중점을 둠. Medicare에서 OMT(Osteopathic Manipulative Treatment) |
Adjusting, Toggle and Recoil *척추 추체 아탈구(vertebra segment subluxation)를 HVLA로 교정하는 방법. 직접기법 위주로 척추에 대한 thrust기법이 두드러짐. Medicare에서 CMT(Chiropractic Manipulative Treatment). |
학술적 분기 | Broad osteopath vs. Lesion osteopath ※20세기 초 외과(수술)와 산과학을 배울 것인가로부터 시작된 학술적 분기. 당연히 배워야한다는 Broad파와 모든 것을 다 잘할 수 없으므로 AT Still의 basic osteopathic principles을 지켜나가며 손을 통한 치료에 전념하자는 Lesion파, Cranial Osteopathy는 Lesion그룹에서 개발함. |
Mixer vs. Straight ※수기치료 외에 다양한 치료를 통해서 일차 진료를 담당하는 건강관리전문직이 되자는 Mixer그룹과 DD Palmer의 가르침을 계승하여 오로지 손으로만 치료하는 근본주의 Straight그룹. Mixer그룹의 주장에 따라 chiropractic school의 교육시간이 크게 늘어나게 됨. |
사회적 타이틀 | Doctor of Osteopathic Medicine(D.O.)는 미국에서 학위를 받은 Osteopathic Physician. 영국, 캐나다도 Doctor of Osteopathic Medicine(D.O.)와 osteopaths를 구분하여 사용함. |
Doctor of Chiropractic(D.C.)와 Chiropractor가 혼용되나, 미국 각주별 입법에 따라 Doctor란 호칭의 허용 여부가 달라짐. Chiropractor란 호칭이 일반적임. |
학문분야 | 초기 Osteopathy 현재 osteopathic manipulative medicine과 osteopathy 병용(보통명사화) |
초기 Chiropractic 현재 Chiropractic (일부 Chiropractic Science 사용) |
오스테오패시 의학(osteopathic medicine)은 의학(western medicine)과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과 상호 경쟁을 하면서 성장해 왔다. 또한 오스테오패시와 카이로프랙틱은 수기의학 치료 분야를 놓고 상호 경쟁 관계를 형성하면서 오늘날에 이르러서 확연히 다른 길을 걸어왔다. 오스테오패시는 교육과정에 의과학(medical science)을 대폭 도입함으로써 의학(medicine)과의 간극을 좁혀서 오늘날 동등한 의학으로 인정받는 방법으로 발전해 왔다. 이와 비교하여 카이로프랙틱 진영은 초창기부터 MD와의 대척점에서 자신들의 위상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의학(medicine)을 대증의학(allopathic medicine)으로 부르고 자신들은 holistic approach를 지향하는 독자적인 전문직(separate profession)으로 정체성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20세기 초 의학이 의과학(medical science)을 도입하고 의과대학 교육개혁을 성공하면서 양자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게 되면서 카이로프랙틱 진영은 제한된 practice를 제공하는 건강관리전문직(health care profession)의 위상에 머무르게 되었다.